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그리고 AI/기록과 일지

문과를 위한 AI 설명서 - XML 프롬프트 심화편

by β.VodQar 2025. 8. 28.

지난 글

문과를 위한 AI 설명서 - 좋은 질문법

 

문과를 위한 AI 설명서 - 좋은 질문법

얼마전 갓 태어난 GPT5는 박사급 능력을 가진다고 합니다. ㅆㄱㅈ는 없어진 거같은데, 아무튼 그렇답니다. 어쨋거나, AI는 하루하루 똑똑해져가는데 병목은 다름아닌 저에게서 오는 것같습니다.

vodqar.com


지난 글을 통해 이제 XML이 무엇이고, 어떻게 생겨먹었으며, 왜 써야하는지 알았습니다.  <태그>내용</태그> 형식으로 AI에게 역할, 배경, 지시사항을 방 나누듯 정리해서 전달하는 방법이죠. 두서없는 긴 질문 대신 체계적으로 소통할 수 있어서, AI도 이해하기 쉽고 우리도 수정하기 편합니다.

 

이제 태그 이름을 정하는 법, 자주 사용하는 템플릿, 실제로 작성하는 방법 등 실전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태그 이름은 아무것이나 해도 괜찮을까요? 정답은 네니요. 상관은 없지만 AI가 실수없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알려진 이름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또,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여는 태그는 <thinking>, 닫는 태그는 </Thinking> 이렇게 다르게 되면 서로 전혀 다른 태그로 취급됩니다.

 

아래는 주로 사용되는 태그 목록입니다.

// 기본 태그 // -- 대부분의 경우 사용되는 태그
role: AI의 역할을 지정해 답변 톤과 범위를 고정한다.

context: 배경정보·제약사항 등 문맥 정보를 제공해 문제 이해를 돕는다.

instructions: AI가 꼭 해야할 것, 답변 조건, 금지사항 등 구체적 지시를 나열한다.

data: 표·원문·스키마 등 구조화된 자료를 원형 그대로 제공한다.

thinking: 사고 과정 초안을 담는 영역으로, 모델 내부 정리를 유도한다.

answer: 최종 출력만 담는 영역으로, 제출 형식을 엄격히 분리한다.

// 고급 태그 // -- 보다 정교한 질문을 위해 종종 사용되는 태그
input: 사용자가 제공하는 핵심 입력(데이터, 질문, 사례 등)을 담는다.

formatting: 출력 형식(목록, 표, JSON 등)과 길이·섹션 구성을 명시한다.

safety: 금지 주제, 민감 정보 처리, 규정 준수 가이드를 명확히 한다.

examples: 예시 입출력을 넣어 기대하는 스타일과 수준을 학습시킨다.

constraints: 시간, 예산, 길이, 대상 독자 등 제한 조건을 분리해 명확히 한다.

evaluation: 품질 기준·체크리스트·수용 기준(acceptance criteria)을 정의한다.

meta: 버전, 작성자, 목적, 우선순위 등 프롬프트 관리용 메타정보를 담는다

 

특히 유용한 태그는 <thinking>입니다. AI에게 스스로 사고하도록 유도하여 그 과정을 글로써 작성하게 함으로써 답변의 깊이를 더하고 사고한 과정을 사용자가 검증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많은 상황에서 제가 사용하는 템플릿입니다.

<thinking>
[차근차근(Step by step) 생각하고, 생각한 과정을 이곳에 작성하세요.]
</thinking>
<answer>
[이곳에 최종 답변을 작성하세요.]
</answer>

 

<thinking> 태그로 사고를 유도하고, <answer> 태그로 답변을 작성할 영역을 정해주어 최종 답변 출력이 섞이지 않도록 하고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감이 잘 안잡히고, 어려워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조금 더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간단한 에디터를 만들었습니다.

(오픈소스, 무료)

 

 

XML 형식 프롬프트 에디터

 

XML 형식 프롬프트 에디터

링크: XML 프롬프트 에디터깃허브 링크:깃허브 XML 프롬프트 에디터AI 프롬프트를 XML 형식으로 쉽게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웹 기반 에디터입니다. ✨주요기능블록 기반 편집: 프롬프트의 각 요

vodqa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