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갓 태어난 GPT5는 박사급 능력을 가진다고 합니다. ㅆㄱㅈ는 없어진 거같은데, 아무튼 그렇답니다.
어쨋거나, AI는 하루하루 똑똑해져가는데 병목은 다름아닌 저에게서 오는 것같습니다. 머리 속에는 복잡한 질문, 아이디어가 가득한데, 이걸 AI한테 프롬프트로 설명하려니 "어디서부터 말하지" 하다가 결국 대충 적고는 "니가 관심법으로 잘 해봐" 하고 "딸깍" 해버립니다. 이른바 딸깍충
답은 XML 형식 프롬프트
우리가 즉흥적으로 생각나는 질문을 바로바로 논리정연하게 쓰기란 어렵습니다. 대부분 두서없이 적다가, 내용이 길어지고, 결국 내가 뭘 적었는지도 모르게 됩니다. 그래서 필요한게 AI에게도, 나에게도 알아보기 좋은 대화법입니다. 그중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쉬운 방법이 XML 형식 프롬프트입니다.
XML은 코딩 아닌겨?
코딩이지만, 코딩이 아닌 그러한 것... 괜찮습니다. 그저 형식만 빌려올 뿐입니다. "<", "/", ">" 이렇게 생긴 특수문자 딱 3개만 알면 됩니다. 이걸로 여는태그, 닫는 태그를 만드는데, 비유하자면 방 하나를 만들어 이름을 정해주고 입구와 출구를 만들겁니다.
아래는 간단한 예시입니다.
<role>
당신은 10년 이상 구찌, 에르메스 등 유명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을 담당하는 마케터입니다.
</role>
AI를 위해 역할이라는 방을 만들기위해 <role>로 입구를 만들었고, 방 안에 내용을 채운뒤, </role>로 출구를 만들었습니다.
즉, 아래와 같습니다.
<태그이름> <- 여는태그(입구)
적고자 하는 내용
</태그이름> <- 닫는태그(출구)
이제 조금 더 복잡한 예시를 보겠습니다.
<role>
당신은 포춘500에 선정된 기업의 마케팅을 담당하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마케터입니다.
</role>
<context>
프로젝트 목적: 우리 브랜드를 핵심 연령층에 바이럴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상승시킨다.
타겟 연령층: 20-30대 커플
주요 제품: 자연 소재를 활용한 핸드메이드 목걸이, 팔찌 등 악세서리
현재 브랜드 인지도: 1달 미만의 신생 브랜드로 아무것도 없는 상태
예산: 전체 기간 동안 100만원
</context>
<instructions>
- 사용자는 1인 기업으로써 마케팅에 지식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수준에 맞춰 답변한다.
- 예산은 근거없이 예상한 금액이므로 합당한지 판단하여 실현 가능한 금액인지, 부족한 금액인지 피드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 프로젝트 시작부터 종료까지 타임라인 형식으로 정리하여 계획을 전개한다.
- 답변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더 있다면 꼭 핵심적인 것만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고 사용자의 후속 답변을 얻고난 뒤에 전체 답변을 작성해주세요. 너무 많은 질문은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합니다.
</instructions>
<thinking>
[차근차근(Step by step) 생각하고, 생각한 과정을 이곳에 작성하세요.]
</thinking>
<answer>
[이곳에 최종 답변을 작성하세요.]
</answer>
<role>이란 방을 만들어서 AI의 역할을 정해주었고
<context>라는 방을 만들어서 문맥을 제공하였고
<instructions>라는 방을 만들어서 AI에게 지시사항을 알려주었고
<thinking>이라는 방을 만들어서 AI가 스스로 생각하도록 유도하였고
<answer>이라는 방을 만들어서 답변을 적을 공간을 만들어주었습니다.
이렇게 블록을 쌓는 것처럼 쭉 적어주면 되는 간단한 규칙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왜 굳이 난해하고 복잡한 이런 형식을 사용해야할까요. 위 예시 프롬프트를 문장식 프롬프트로 풀어보겠습니다.
당신은 포춘500에 선정된 기업의 마케팅을 담당하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마케터입니다.
우리 브랜드를 핵심 연령층에 바이럴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프로젝트 목적입니다. 타겟 연령층은 20-30대 커플이고,
주요 제품은 자연 소재를 활용한 핸드메이드 목걸이, 팔찌 등 악세서리입니다. 현재 브랜드 인지도는 1달 미만의 신생 브랜드로
아무것도 없는 상태이며, 예산은 전체 기간 동안 100만원입니다.
사용자는 1인 기업으로써 마케팅에 지식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수준에 맞춰 답변해주시고, 예산은 근거없이 예상한 금액이므로
합당한지 판단하여 실현 가능한 금액인지, 부족한 금액인지 피드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세요. 프로젝트 시작부터 종료까지
타임라인 형식으로 정리하여 계획을 전개해주시고, 차근차근 생각한 과정과 함께 최종 답변을 작성해주세요.
만약 답변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더 있다면 꼭 핵심적인(너무 많은 질문은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것만
질문해주시고, 사용자의 후속 답변을 얻어 전체 답변을 작성해주세요.
논리적으로 잘 작성 프롬프트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머리속의 질문을 논리정연하게 한 번에 작성하기 어렵고, 어떤 부분을 수정해야한다면 찾기도 힘들며 문장 구조를 뒤엎어야 할지도 모릅니다.
XML 형식 프롬프트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섞이지 않음: 지시사항과 예시가 명확히 구분됨
- 보기 쉬움: 긴 질문도 제목처럼 정리돼서 한눈에 들어옴
- 재사용 편함: 한 번 만든 틀로 계속 써먹을 수 있음
- 수정 쉬움: 문제 생긴 부분만 콕 집어서 고칠 수 있음
참 쉽지않죠?
낮은 수준의 질문에서는 이러한 방법이 굳이 필요하진 않습니다. ChatGPT나 Claude 모두 한국어에 대해 잘 학습되어 있고 요즘에는 기본적으로 스스로 생각하는 추론을 내장하고 있어서 어지간하면 문맥을 정확히 캐치하거든요.
하지만, 복잡한 질문에서는 질문 자체에 오류가 생길 여지가 커지고, 결국 프롬프트 오염으로 이어져서 엉뚱한 결과가 나오거나, 핵심적인 부분에서 부족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XML 형식 프롬프트는 사람이 실수할 여지를 줄여주는 방법임에서 이용가치가 큽니다. 강제적으로 질문을 구조화해야함으로 논리적인 질문이 되게끔 하거든요.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XML 형식 프롬프트 에디터
XML 형식 프롬프트 에디터
링크: XML 프롬프트 에디터깃허브 링크:깃허브 XML 프롬프트 에디터AI 프롬프트를 XML 형식으로 쉽게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웹 기반 에디터입니다. ✨주요기능블록 기반 편집: 프롬프트의 각 요
vodqar.com
XML 구조로 작성하기 어려운 여러분들을 위해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는 툴을 만들었습니다.
'인문학, 그리고 AI > 기록과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과를 위한 AI 설명서 - XML 프롬프트 심화편 (2) | 2025.08.28 |
---|---|
문과를 위한 AI 설명서 - 구체적 맥락 작성법 (4) | 2025.08.24 |
댓글